*대충 이해하기 편한 대로 메모한 거라 실제 워딩과 다름. 문답 순서도 임의로 분류함

 

1. 국제기구의 정세

Q. 세계 정세 속에서 국제기구의 전망이 어떠한가?

A. 국가 이기주의 강화로 어려운 상황이었음

그러나 우크라이나 전쟁, 이란 히잡 혁명 등으로 관심 높아짐

 

Q. 국제 사회의 힘의 논리가 국제기구에도 반영되는가?

A. 총회는 1국 1표. 그러나 안보리와 상임의사국은 불평등함

실제로 개편논의가 있었고 이를 위한 파벌싸움도 존재했으나 실패

G77이라는 개도국 그룹이 있는데 77개국으로 시작해 현재는 110국으로 막강

한국도 원래 여기에 속해있었으나 현재는 이탈. 파벌 없음

 

Q. 동북아시아에 국제기구가 없는 이유?

A. 역사 문제라고 생각. 역사가 신뢰의 형성을 방해함

위안부 문제는 일본과의 신회회복을 위한 중요 분수령이었으나 사실상 실패

중국의 정책에 의한 역사적 갈등 역시 신뢰형성에 방해물이 되고 있음

 

 

2. 국제기구에서의 개인적 경험

Q. 커리어가 화려한데 진로 선택에 있어서 어떤 고민이 있었는가?

A. 대학 졸업 후 KBS 취업 -> 공부의 필요성을 느껴 신문방송학 석박사 -> 학계가 여자 교수를 반기지 않던 시기라 좌절

-> 국회의장의 요청으로 국회행 -> 일하다보니 외교부에 관심, 별정직으로 -> UN 관련 외교부 업무 담당

-> 반기문씨 총장 만들기 켐페인에 참여 -> 마무리 단계쯤 보니 UN의 인권부서장 자리가 공석, 주변의 권유로 지원, 합격

안타깝게도 목표가 있었다기보다는 있는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다보니 그렇게 흘러온 것에 가까움

그러나 항상 최선을 다하고 있었기 때문에 잡을 수 있었던 기회라 생각. "기회는 준비된 자에게"

 

Q. 국제기구 생활 중 장기목표 vs 정치문제의 무력감을 어떻게 해결했는가?

A. 국제기구 결정권자 = 회원국이므로 국익 우선인 게 사실

but 1) 팀워크를 통한 동료와의 의기투합으로 무력감 이겨냄

2) 일부의 진전에 집중. 예를 들면 Climate Change Mitigation의 전체 목적은 달성하지 못함

But, 그 중에도 Loss&Damage Fund의 유치는 성공

 

Q. 해외 생활과 결혼/가족 문제의 양립을 어떻게 달성했는가?

A. 동료들을 보면 각자의 생활에 대한 이해/인정 및 결정/합의가 중요해보임

본인의 경우 상황이 좋았음. 육아가 중요한 시기에는 국회에서, 외교관 활동 때는 자녀가 이미 청소년

 

Q. 국제 기구 생활 중 세계의 혁신적 변화를 체감한 사례가 있다면?

A. 디지털라이제이션. 물론 가짜뉴스, 해킹 등 폐단에 대한 대안은 부족. Post-Truth세대(이코노미스트지)

 

Q. 국제관계 문제를 마주할 때 어떻게 접근하는가?

A. 이슈 자체의 역사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

단편적인 주장의 옳고 그름보다 이슈의 흐름이 더 중요

 

Q. 국제기구 활동에서 얻은 통찰이 있는가?

A. 옳은 일을 한다 생각하는 사람들이 강압적 접근을 택하는 경우가 많음

그러나 자기가 옳다는 것은 이미 우위에 있다는 것이므로 강압적 접근은 궁지에 모는 것과 같음

상대에 대한 겸허한 자세를 취하는 것이 중요함에 주의

한국의 이미지가 국제사회에서 꽤 긍정적

인류의 다양성은 약점이 아닌 강점

 

Q. 활동 중 겪은 돌발 상황

A. 1) 캄보디아 인권사무소장이 캄보디아 정부에 의해 야당의 대변인으로 몰리고 공격당함

2) 네팔 사무소가 네팔에서 퇴출됨

 

 

3. 국제 사회와 우리나라

Q. 국제 사회에서의 한국인의 필요성

A. 국제 사회의 한국에 대한 평가: "한국의 민주주의는 시끄럽고 혼란스럽다!"(긍정적 의미에서)

-> 자유의식에 대한 한국인들의 열정을 의미하며 이는 한국인의 저력이기도 함

 

Q. 북미관계의 현황과 거기서의 남한의 역할

A. 현재 STOP 상황. 미국 입장에서는 중국, 러시아와의 헤게모니 전쟁이 우선순위

추후 남북문제를 주요 문제로 끌어올리기 위해 어떻게 불을 붙일지를 고민해야

 

Q. 고려인계 우크라이나 난민에 대한 우리나라의 적극적인 노력이 미비한 이유?

A. 우리나라의 정책적 스탠스는 기본적으로 난민에 인색. 법무부와 출입관리국에 요구되는 관점의 디폴트값이 그러함

그러나 우리나라는 동아시아 국가 중 난민 협약에 가입해있는 유일한 나라. 비관할 필요는 없음

 

Q. 현재 대학 사회의 엘리트화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A. 기존 인권운동이 개인에만 초점을 맞춰왔던 것의 부작용이라 생각함

인권에는 사회 전체의 이익 증진이 전제됨이 간과되고 있음

공직자는 public servant이고 봉사와 책임의 관점이 판단의 전제임을 기억해야

 

 

4. 국제기구에서 활동하고 싶다면?

Q. 국제기구 활동과 외교 활동의 차이

A. 외교 스킬 자체는 공통적. 단 국제기구는 공익, 외교는 국익에 해당

 

Q. 국제기구 진출을 위한 마음가짐

A. 국제기구에서 활동하고 싶다는 막연한 생각보다 국제사회의 어떤 영역에 기여하고 싶은지를 먼저 구체적으로 고민해야

 

Q. 국제기구에서 활동하기 위해 필요한 역량

A. 1) Diplomatic Skill

2) 언어적 스킬(fluency<accuracy): 시사를 많이 읽고 생각을 영어로 정리하는 방식으로 연습

3) Honesty: 모르는 것은 모른다고 인정하는 태도

 

Q. 국제기구 채용준비 과정에서 준비해야 할 것?

A. 1) 공고에서 minimum requirement 만족 + 고용 프로세스의 이해 -> 질문의 핵심 파악

2) 국제기구 인턴이나 ngo 경험 중요, 3) 원서를 자주 쓰고 진출자와 접촉하는 것도 도움됨

4) 채용과정 공개 의무 탓에 반 년 가까이 소요되기도 하기 때문에 인내심을 갖고 기다려야

 

Q. 그 외

A. 외교부 국제기구 진출센터에서 도움 받을 수 있으므로 연락을 취해볼 것

+ Recent posts